728x90
반응형
클라우드 스토리지: 다양한 옵션과 특징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데이터를 클라우드 환경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클라우드 제공자가 스토리지의 호스팅, 보안, 관리 등을 담당합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용량을 확장하며, 주로 'GB당 비용'을 지불합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각 유형은 특정 용도에 맞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유형
- 직접 연결 스토리지(Direct Attached Storage)
서버에 직접 연결된 스토리지로 빠르지만, 주로 운영체제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노드에서 공유할 수 없으며, 일시적(Ephemeral)입니다. - 파일 스토리지(File Storage)
NFS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스토리지로, 속도는 느리지만 여러 서버에서 동시에 사용 가능합니다. 주로 폴더 구조로 데이터를 정리하고 파일 공유에 적합합니다. 예: 부서별 파일 공유나 애플리케이션 파일 저장. - 블록 스토리지(Block Storage)
고속 연결을 통해 컴퓨팅 노드에 연결되며, 데이터베이스나 속도가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속도를 나타내는 IOPS(초당 입출력 작업 수)가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블록 스토리지는 스냅샷 기능으로 데이터를 특정 시점으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 객체 스토리지(Object Storage)
API를 통해 데이터를 관리하며, 무한한 용량을 제공하지만 속도는 느리고 비용이 저렴합니다.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적합하고, 문서, 동영상, 백업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의 접근 빈도에 따라 비용이 달라지는 여러 계층(Tier)이 있습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유형별 특징
- 파일 스토리지: 여러 컴퓨팅 노드에서 동시에 사용 가능, 공동작업에 적합하지만 속도가 중요한 작업에는 부적합합니다.
- 블록 스토리지: 일관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여 성능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데이터베이스나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 등에서 유용합니다.
- 객체 스토리지: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적합하며, 용량 제한이 없고 비용이 저렴합니다. 백업 파일, IoT 데이터, 비디오 파일 등을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객체 스토리지 계층별 비용
- 표준 계층: 자주 접근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비용이 가장 높습니다.
- 아카이브 계층: 월 1~2회만 접근되는 문서 등을 저장하며, 저렴한 비용이 제공됩니다.
- 콜드 볼트 계층: 연 1~2회만 접근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가바이트당 비용이 매우 저렴합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각기 다른 요구 사항에 맞는 스토리지 옵션을 제공하며, 데이터의 유형, 사용 빈도, 성능 요구 사항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728x90
반응형
'Cloud >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loud ] 가상화와 하이퍼바이저 (1) | 2024.11.24 |
---|---|
[ Cloud ] Cloud 와 DevOps (1) | 2024.11.23 |
[ Cloud ] Cloud Native Application (2) | 2024.11.22 |